신진학자대회
대한국제법학회는 한 해의 첫 학술회의는 매년 3월 넷째주 토요일 신진학자의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함께 논의하는 신진학자학술대회로 시작합니다. 신진학자학술대회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한 것은 2005년부터입니다. 그간 학생의 신분으로 연구에 매진한 신진학자를 동료로 맞이하여, 향후 왕성한 활동을 기대하는 격려와 성원을 보내는 신진학자학술대회는 대한국제법학회가 가지고 있는 아름다운 전통입니다.
2025.03.21 ![]() |
2025년 신진학자 학술대회 국제법과 글로벌 거버... | 박소민 박사 이지원 박사 황선영 박사 정세정 박사 김민 박사 엄예은 박사 |
인권조약상 보편적 관할권과 피해자의 구제권 인도적체류자의 가족재결합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철강의 우회 수출입에 따른 피해 구제 : 사전적 예방 정책안 제안 외국인투자심사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 국가안보 예외 법리의 적용과 대안을 중심으로 국제해양법상의 해양풍력발전에 관한 연구 포용적 기후 거버넌스 : 국제환경법상 공동관심사(Common Concern)의 개념과 확장성 |
2024.03.30 ![]() |
2024년 신진학자 학술대회 뉴노멀(New Normal)시대 국... | 심소연 박사 서홍 박사 고은수 교수 조아영 박사 |
유럽연합 역내외 협상에서 의회 간 협력의 역할 고찰 부패범죄 억제를 위한 국제형사사법공조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중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군사용 해양무인체계에 관한 국제법적 연구 기후변화 시대의 해양산성화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 커먼즈로서의 해양과 공공신탁이론 |
2023.03.25 ![]() |
2023년 신진학자 학술대회 포스트 팬데믹 시대 ... | 강두원 변호사 김명우 초빙연구원 한창완 과장 김현정 연구위원 이정아 박사 장혜원 박사 조훈 박사후연구원 |
국제사법재판소 판결에 대한 이행강제금 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국제형사재판소 관할권 행사에 있어서 속지주의의 적용: 로힝야 결정을 중심으로 해석주의 이론의 국제재판에 대한 적용가능성 연구 WTO SPS 협정상 제6.1조 ‘SPS특성으로의 적합’에 관한 연구: 위험평가를 중심으로 EU 탄소국경조정제도의 주요내용 및 국제통상법적 검토 초국경적 환경오염원으로부터 해양환경 보호의무에 관한 국제법적 연구 유엔해양법협약 제15부에 대한 사법해석의 법규범창설(Lawmaking) 효과 |
2022.03.26 ![]() |
2022년 신진학자학술대회 국제법의 새로운 쟁점 | 황준식 박사 최성규 박사 조유미 사무관 이현택 박사 |
비엔나 조약해석 규칙 체제상 준비문서(Travaux Préparatoires)의 지위 국제법상 국가의 비밀 정보수집활동에 관한 규범성 연구 국제통상규범상 안보 예외에 관한 연구 다자환경조약의 무역제한조치에 대한 GATT 제XX조 적용의 한계와 대안 |
2021.03.27 ![]() |
2021년 신진학자학술대회 구조변동 시대의 국제법... | 김대경 김진엽 최영진 강민지 김경화 김혜림 Diana Carolina Rios Florez 이 선 Rustam Gaziev 백지열 송에스더 이명화 이서희 |
생태계기반 접근법과 BBNJ 국제문서 간 상호관계 연구 생물유전자원 및 관련 전통지식 무단이용의 규제를 위한 법적체제 구축 해양투기 규지범위의 확대와 CCS의 국가간 이동에 관한 연구 미국이 추진한 FTA에서의 SPS 지역화 규정연구 The‘Equivalent’Standard in WTO Arbitrations of Trade Remedy Disputes One Size Does Not Fit All Cryptoassets: The Structural Coupling between Law and Technology towards the Configuration of B-Property and Its Relevance for the International Law 나고야의정서 이익배분체제의 디지털염기서열정보에 대한 적용에 관한 고찰 The right of passage: Thorugh the prism of enclaved territories 한국의 자산동결 사건에 대한 연구 중대한 인권침해시 보편적 민사관할권을 통한 배상의 가능성 유럽장애인권리협약 제12조와 정신장애인의 법적능력 국제연맹규약의 위임통치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